Nature and People 228

금은화 효능(위벽 보호, 폐렴, 호흡기 염증, 항염증, 항바이러스, 항산화 등) / 금은화 추출물 효능

금은화(金銀花)는 인동덩굴에서 피는 꽃이다. 인동덩굴은 인동과에 속하는 다년생 덩굴성 낙엽수로 인동은 줄기와 잎, 금은화는 꽃봉오리에 속한다. 인동(忍冬)이란 말은 겨울을 인내하여 생존한다는 의미이다. 줄기와 잎이 겨울에도 말라죽지 않고 생존한다. 금은화는 처음에는 흰색이지만 점차 금빛으로 변한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개화기는 6~7월이다. (꽃말 : 사랑의 인연, 헌신적 사랑, 부성애) 금은화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미국, 캐나다, 일본의 약전에도 등재된 원료이다. 미국은 2004년 FDA에서 금은화를 약재로 등재했다. 금은화는 꽃이 피기 직전의 꽃봉오리를 약재로 사용한다. 금은화의 꽃봉오리에는 다양한 영양소가 최고치로 함유하고 있다. 꽃이 피게 되면 약성이 떨어진다고 전통 한의학에서는 여겼다. 금은화..

Nature and People 2023.01.10

겨우살이 효능(항암, 관절염, 근육통, 다이어트 ) / 겨우살이 차 만드는 방법 / 겨우살이 권장 섭취량은?

겨우살이는 다른 나무의 가지에 뿌리내리고 기생하며 추운 겨울에도 푸릇하며 마치 새둥지같이 생겼다. 겨우살이는 하늘과 맞닿은 곳에서 자란다 하여 '하늘 본초'라는 별명도 있다. 그리고 한의학 본초명으로는 참나무나 떡갈나무에 기생하는 겨우살이를 '곡기생', 뽕나무에 기생하는 겨우살이를 '상기생'이라고 부른다. 한의학에서는 상기생을 최고의 겨우살이로 여기는데 중국에서 자라며 우리나라에서는 매우 구하기 힘들고 가격이 비싸다. 겨우살이는 높은 곳에서 자라다보니 채취하기가 힘든 본초이기도 하다. 열매는 노랗고 투명해서 마치 은행같이 생겼다. 열매는 맛은 달달하고 점성이 있어 입에 달라붙을 정도이다. 줄기와 가지는 미끈하고 황록색 빛깔을 띠며 잎은 두 장이 서로 마주 보면서 난다. 예부터 겨우살이는 신비한 힘을 가지..

Nature and People 2023.01.08

말굽버섯 효능(항암, 항염증, 당뇨 예방) / 말굽버섯 차 끓이는 방법

암에 좋은 대표적인 버섯 하면 상황버섯, 영지버섯 등을 떠 올릴 수 있는데 말굽버섯도 암 예방에 탁월하다. 말굽 모양을 닮았다하여 말굽버섯이라 이름이 붙여졌다. 상황버섯과 영지버섯은 재배가 가능하지만 말굽버섯은 재배가 되지 않고 북위 45도 이상 영하 20~25도의 혹한 지역에서 자작나무의 수액을 빨아먹으며 자생한다. 말굽버섯은 기원전 8,000년 전 중석기 시대 유적지에서도 발견될 정도로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식용했던 버섯으로 전해진다. 재배가 되지 않아 한국에서는 많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러시아, 미국, 일본 등의 국가에서는 최고의 항암 당뇨 예방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말굽버섯에는 항암 효과가 있는 베타글루칸 성분이 풍부하다. (베타글루칸 함량 1mg당 150~200ug) 베타글루칸 성분은 NK세포,..

Nature and People 2023.01.07

석창포 효능(치매와 건망증 예방)과 복용방법(석창포 차) / 석창포 섭취시 주의할 점

◈ 석창포란? 석창포는 천남성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식물이다. 전 세계에 창포 속 식물이 약 7종이 있으며 이 중에 약으로 사용되는 창포가 3종이 있는데 석창포가 이 중에 하나이다. 석창포는 깨끗한 물에서 자라며 계곡이나 산골짜기의 바위틈에서 주로 잘 자란다. 석창포는 길쭉한 칼모양의 잎이 30~50cm까지 자라는데 일반인이 봤을 때는 그냥 일반 풀로 보인다. 석창포는 잎과 줄기에서 독특한 향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석창포는 가을과 겨울에 뿌리줄기를 채취하여 건조한 것으로 외형이 지네를 닮았으며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맵고 쓰다. 여름에는 대부분의 영양소가 잎에 있기 때문에 여름에는 채취하지 않는다. 방향성이 강해 인체의 장부와 경락의 기운이 잘 소통되도록 뚫어 주고 탁한 기운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게..

Nature and People 2023.01.05

청국장의 고초균이란? 고초균의 효능과 청국장을 먹어야 하는 이유

청국장에는 유산균이 없다? 청국장에 유산균이 많다고 알고 있는 사람이 많다. 청국장에는 유산균이 전혀 없다. 대신 청국장에는 고초균이 있다. 김치, 요거트 등 발효 식품에는 유산균이 풍부하니깐 청국장에도 유산균이 많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청국장 발효에는 고초균이 그 역할을 한다. 유산균보다 더 장점이 많은 청국장의 고초균! ※ 고초균(枯草菌, Bacillus subtilis)이란? 고초는 볏짚 같은 마른 풀이나 토양에서 서식한다고 붙여진 이름이며 영어로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라고 부르는 발효균이다. 고초균은 40도씨 정도의 온도와 적당한 습도에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거의 30분마다 2배로 증가하여 10시간이 지나면 처음 1마리가 100만 마리 이상 증가한다. 청국장은..

Nature and People 2023.01.02

산조인(멧대추씨) 효능(불면증, 식은땀) 먹는 방법

일반적으로 대추는 씨를 제외한 과육을 식용으로 하는데 과육 대신 씨를 먹는 대추가 있다. 바로 산조(酸棗)라고하는 야생에서 자라는 대추나무로 '멧대추' 혹은 '묏대추'라고도 한다. 산조는 맛이 시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산조는 시골의 산기슭이나 마을 입구에 양지바른 곳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나무였다. 갈매나무과로 대추나무와 비슷하다. 가시가 나고 열매가 둥글다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 대추는 맛이 달기 때문에 식품이나 약과로 사용되었다면 산조는 맛이 시기 때문에 주로 약용으로 사용되었다. 대추와 멧대추(산조)의 차이를 명기 "대추는 키가 높이 자라서 기(氣)가 진하고 멧대추는 키가 작아 아래로 빽빽하게 모여서 생기면 기가 약해진다. 그래서 대추는 기가 진해서 맛이 달고 멧대추는 기가 약해서 맛이 시다...

Nature and People 2022.12.27

벌나무 효능(간 건강, 이뇨작용, 혈관건강, 항암 등)과 부작용 먹는 방법(차 끓이는 방법)

벌나무는 단풍나무과 나무로 '산청목', '산겨릅나무'로도 불리며 단풍나무과 중에서 잎이 가장 크다. 벌나무는 벌이 많이 모여든다 하여 벌나무라고 불린다는 설이 있고 가지의 모양이 벌집과 비슷하여 벌나무라고 불리게 되었다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산청목은 산에 있는 청색 나무라는 뜻이라고 한다. 설득력이 있어보이지는 않지만 여하튼~ 예부터 간을 치료하는데 좋은 약재로 사용되었다. 나무껍질에는 섬유질이 풍부해 새끼줄 대용으로 사용되기도 했다고 한다. 예전에는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나무였지만 약효가 알려지면서 수요가 증가하여 찾아보기 힘든 나무가 되었다. 벌나무는 독성이 없어 체질에 무관하게 복용할 수 있다. 맛은 담백하고 성질은 따뜻하다. 뿌리부터 줄기와 잎 모두 약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주로 나무..

Nature and People 2022.12.25

벌레 먹은 개다래 '개다래 충영' 효능(항산화, 항통풍, 류머티즘 관절염, 염증성 질환, 혈액 속 염증 제거)

개다래나무에는 두 가지 열매가 열린다. 개다래가 꽃이 피었을 때 풀잠자리가 꽃(씨방)에 알을 낳는데 애벌레가 생기면 매끈했던 열매가 울퉁불퉁하게 맺히게 된다. ※ 개다래 충영이란? 벌레 충(蟲) 혹 영(癭) 열매에 혹인 생긴 것 같다 하여 충영이 되었다. 매끈한 열매보다 울퉁불퉁한 열매가 약성이 더 뛰어나다. 개다래의 풍부한 비타민 P가 개다래 속 유충이 내뿜는 트립토판, 글루탐산 등 각종 아미노산 성분과 만났을 때 염증 완화 효과에 시너지를 발휘하여 혈액을 맑게 하는 데 더 도움이 된다. ▶ 개다래 열매 따뜻한 성질로 신장을 따뜻하게 해 노폐물 배출에 도움을 주는 약성을 지니고 있다. ▶ 풀잠자리 애벌레 신장을 따뜻하게 해 노폐물을 배출하는데 도움을 준다. 개다래 충영은 이 둘이 합쳐진 것을 말하며 개..

Nature and People 2022.12.21

마가목 열매 효능과 마가목차, 마가목주 만드는 방법

신이 내린 나무로 불리는 마가목! 얼마나 효능이 대단하길래? 마가목은 장미과에 잎이 지는 넓은 잎 중간 키 나무로 6~10m 정도 곧게 자란다. 이른 봄철에 말의 이빨같은 새싹이 나온다고 하여 '마아목'으로 불리다가 '마가목'이 되었다고 한다. 1000~1300m 고지의 깊은 산에서 군락을 이뤄 자라며 영하 20도 이하 혹한에도 얼어 죽거나 고사하지 않는 생명력이 강한 식물이다. 바위가 많고 서늘한 응지와 계곡 주변에 주로 자생한다. 공해에 강하고 꽃과 열매 그리고 단풍까지 아름다워 도심 속 도로변이나 공원수로 식재되기도 한다. 풀 중에는 산삼이 최고, 나무 중에서는 마가목이 최고로 여겨질 정도로 약효가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다. 예부터 마가목은 잎, 줄기, 뿌리, 열매 모두 약재로 사용할 수 있는 약용수..

Nature and People 2022.12.20

초석잠 효능(뇌경색 예방, 기억력 증진, 치매 예방, 뇌기능 강화, 장건강, 지방간예방, 노화방지)

소라와 골뱅이를 닮은 '초석잠'은 땅속의 다슬기로 불린다. 풀 초(草) 돌 석(石) 누에 잠(蠶) 직역하면 돌처럼 단단하고 야무진 누에라고 할 수 있는데 생긴 것이 누에 같아 붙여진 이름이다. 초석잠은 꿀풀과의 석잠풀 뿌리 열매이다. 석잠풀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햇볕이 잘 들고 배수가 잘 되는 곳에서 자란다. 꽃과 줄기가 죽은 후에 뿌리에 영양분이 집중되는 시기인 11월~2월 사이에 수확하는 것이 가장 좋다. 초석잠의 뿌리는 아삭한 식감을 가지고 있으며 시원 달콤 아린 맛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본초에서 초석잠은 달고 서늘하고 독이 없다라고 명시하고 있다. 이뇨작용으로 소변을 잘 못 보고 몸이 잘 붓는 증상에 사용되기도 한다. 초석잠은 치매에 뛰어난 효과가 있는 두뇌영양제로 알려져 있다. 가까운 일본과 ..

Nature and People 2022.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