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ture and People 228

산사(산사자) 추출물 효능(고혈압, 콜레스테롤, 당뇨, 복부비만 등)과 부작용

중년을 위한 약초 '산사' 혈압, 콜레스테롤, 혈당, 복부비만에 도움 되는 약초 '산사'는 우리 주변에 흔히 볼 수 있다. 산사는 산에서 나는 작은 사과와 비슷한 생김새를 가지고 있다. 옛날에는 산사나무의 가시가 귀신을 쫓아준다 하여 울타리로 활용되기도 했다. 산사의 꽃과 열매는 아름다워서 공원의 관상용으로도 많이 심었다. 4~5월에는 하얀 꽃이 핀다. 서양에서는 산사의 꽃을 5월을 상징하는 '메이 플라워(May Flower)'라고 부른다. 9~10월에는 빨갛게 열매가 열린다. 열매는 채취하여 씨를 빼고 말려 약재로 사용했는데 이것을 '산사자'라고 한다. 우리나라 토종 산사는 열매가 작은 것이 특징이며 중국산은 열매가 크다. 산사의 효능은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유럽에서는 산사 추출물..

Nature and People 2023.05.13

작약 효능(류마티스 관절염, 자가면역질환, 심혈관계 질환, 항염증, 항균, 면역조절작용)과 부작용

작약의 꽃은 매우 아름답다. 개화시기는 4~5월이다. 작약의 뿌리는 오래전부터 한약재로 사용되었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작약이 들어간 한약처방이 광범위하다. 작약은 진통, 항염증, 항균작용, 혈액순환, 심혈관계질환 개선 등 다양한 효능을 가지고 있다. 최근 해외에서는 작약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연구가 활발하다. 류마티스 관절염이나 자가면역질환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은 작약의 효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 작약의 효능 1. 항염증, 면역조절 작용 작약에는 페오니프롤린(paeoniflorin)과 알비프롤린(albiflorin)이라는 대표적인 유효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페오니프롤린은 면역조절기능과 항염증 작용을 한다. 류마티스 관절염이나 자가면역질환이 발생하면 다양한 염증성 ..

Nature and People 2023.05.11

느릅나무(유근피) 효능(비염, 기침, 천식, 항염, 항알레르기, 소염, 항균작용)

느릅나무의 한약명은 유근피이다. 유근피는 느릅나무의 몸통부터 뿌리까지 모두 유근피라고 하며 나무속 껍질은 유백피라고 한다. 껍질 표면은 붉은빛을 띠며 맛은 달다. 유근피는 줄기보다 뿌리껍질에 약효가 더 많으며 두꺼울수록 효능이 좋다. 유근피를 물에 담가두면 코처럼 끈적끈적한 점액이 나오는데 이 때문에 '코나무'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 코처럼 늘어지는 점액을 보고 '느른한 나무'에서 '느릅나무'로 불리게 되었다는 구전이 있다. 동의보감에서 유근피는 성질이 평하고 무독하고 활리작용과 이뇨작용을 하며 코나 위장의 염증을 가라앉히고 붓기를 제거한다. 고 하였다. ※활리작용이란? 부드럽고 매끄럽게 하여 잘 흐르게 하는 작용을 말한다. 느릅나무는 예부터 종기치료, 이뇨약으로 사용되었다. 부스럼이나 종기가 났을 때..

Nature and People 2023.05.11

여성의 산삼으로 불리는 '당귀' 효능(보혈, 혈액순환, 부인병, 상처치유, 피부재생)과 부작용 및 섭취방법

서양에서는 당귀가 천사의 의미를 가진 '안젤리카(Angelica)'라는 학명을 가지고 있다. 참고로 우리나라 참당귀의 학명은 안젤리카 기가스(Angelica gigas)이다. 당(當) 마땅할, 당연할 귀(歸) 돌아오다 '당귀'는 '당연히 돌아오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과거 중국에서는 전쟁에 나가는 남편에게 당귀를 먹여 무사히 집으로 돌아기를 기원했다고 한다. 당귀의 어린잎은 향이 좋아 나물이나 쌈으로 먹고 몸통 부위는 '당귀신'이라고 하는데 혈액을 풍부하게 하고 보혈 효과가 있어 한약의 보약을 처방할 때 많이 사용한다. 특히 사물탕이라는 보약에 주로 사용된다. ※ 사물탕(四物湯) 숙지황, 백작약, 천궁, 당귀 등을 넣어서 달여 만드는 탕약으로 혈병(빈혈, 위축성 위염)이나 월경병에 처방한다. 당귀의 ..

Nature and People 2023.04.25

젊음의 열매로 불리는 슈퍼푸드 '마키베리' 효능(노화방지, 심혈관 건강, 눈건강, 면역력, 암예방, 다이어트 등)

2017년 영국 텔레그래프지가 선정한 세계 5대 슈퍼푸드 '마키베리(Maqui Berry)' 슈퍼의 의미는 안토시아닌, 미네랄, 비타민, 화이버 등 영양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활력을 불어넣어 주고 건강을 유지해 주는 것을 의미한다. 자연이 준 보라색 선물 마키베리는 칠레의 청정지역인 파타고니아, 아르헨티나 등 남미 특정 지역에만 자라는 마키나무의 열매이다. 마키베리는 1년에 한 번 수확이 가능하고 따로 재배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야생에서 많은 양이 채취되고 있다. 칠레 정부는 마키베리 묘목을 수출 금지시켰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묘목을 볼 수 없으며 생과 역시 볼 수 없다. 국내에서는 마키베리 분말로 섭취 가능하다. 마키베리는 강력한 항산화 효과 덕분에 세포를 손상시키는 활성산소를 제거해 주어 세포..

Nature and People 2023.04.24

히비스커스(Hibiscus) 효능(다이어트, 체지방 감소, 심혈관질환예방, 독소배출, 신장건강, 요산수치감소, 피부미용, 노화방지)과 먹는 방법

하와이 무궁화라고 불리는 히비스커스 히비스커스는 무궁화와 함께 아욱과에 속하는 무궁화속에 속해있는 식물이다. 무궁화속 식물들은 야생에서 잘 자라며 아프리카, 아시아, 태평양 섬 일대, 남아메리카의 전 세계에 자생하고 있다. 특히 하와이 하면 가장 먼저 연상되는 것이 화려한 꽃으로 만든 환영목걸이다. 이 중에서도 하와이를 대표하는 꽃은 노란 히비스커스 꽃이다. 히비스커스는 다양한 품종이 있지만 식품으로 사용하는 히비스커스는 따로 있다. 로사 시넨시스(Hibiscus rosa sinensis)라는 품종은 주로 꽃잎을 말려서 섭취하며 로젤(Hibiscus Sabdariffa) 품종은 꽃이 떨어지고 나면 꽃받침이 점점 커져 웃자라게 되는데 이것을 섭취한다. 히비스커스는 성질이 차며 신맛이 강한 것이 특징이다. ..

Nature and People 2023.04.22

송담 효능(관절염, 근육통, 고혈압, 당뇨, 기관지, 면역, 항암 등)과 먹는 방법(송담차, 송담 담금주 담는 방법)

등산을 하다 보면 소나무를 감고 있는 넝쿨을 가끔 볼 수 있다. 송담이라고 하는 넝쿨 식물로 소나무의 송진과 좋은 성분을 먹고사는 소나무 담쟁이넝쿨이다. 약재로는 거의 산삼과 버금가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 소나무의 영양분을 먹고 기생하는 송담은 소나무를 시들게 하기 때문에 송담을 채취하는 것은 소나무에게도 좋고 사람에게도 이로운 작업이다. 넝쿨을 잡아당겨보면 밑에는 잘 부러지는데 소나무에 붙어 있는 부분은 잘 떨어지지 않는다. 채취할 때는 소나무 윗부분에 붙어 있는 부분이 잘 떨어지도록 몇 바퀴 돌려주면 떨어진다. 송담은 소나무와 참나무에 기생하는 넝쿨만 식용이 가능하다. 송담은 지름이 1년에 1mm 정도씩 자라는데 지름이 3cm 정도 되면 거의 30년 정도 된 것이다. 송담은 지름이 3cm 이상 되어야..

Nature and People 2023.04.09

익모초 효능(부인과 질환, 혈관성 질환, 신장질환, 항암, 피부염, 피부미용, 눈건강 등)과 익모초의 부작용 및 주의할 점

◈ 익모초란? 익모초는 꿀풀과의 두해살이풀이며, 쑥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종이 다른 꿀풀과 식물이다. 전국의 들에 아주 흔하며 약초로 재배하는 농가도 있다. 익모초의 잎은 깃골로 깊게 갈라지며 크게는 세 부분으로 갈라지는데 맛은 쑥처럼 쓴 맛이 강하다. 줄기는 꿀풀과 식물의 특징인 사각이며 각각의 면에 골이 있고 작은 털이 있다. 다 자란 익모초는 사람키보다 더 크게 자란다. 익모초의 약초명은 경엽(莖葉)이고 약재명은 '익모초' 또는 '충위'라고 하며 지상부 전체를 약재로 사용한다. 씨앗은 '충위자'라고 하며 역시 약재로 사용된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익모초는 성질은 차고, 맛은 맵고 쓰며 무독하다.라고 명기되어 있다. 쓴맛이 강한 약초는 열을 내리고 염증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으며 매운맛은 순환을 촉진하는 ..

Nature and People 2023.04.08

와송 효능(항암, 해독, 고혈압, 당뇨, 아토피, 피부염, 호흡기 질환, 변비, 다이어트 등)과 먹는 방법(와송차, 발효액, 주스, 음식 등) 및 부작용

한국의 5대 항암 약초 '와송' 와송은 오래된 기와지붕이나 산 바위 등에서 자라는 다육식물이다. 瓦 기와 '와' 松 소나무 '송' 자라는 모양이 소나무 잎이나 꽃을 닮았다 하여 '와송'이라고 불린다. 다른 이름으로는 기와솔 또는 바위솔이라고도 부르며 신탑, 탑송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지금은 기와지붕이 많이 없기 때문에 자연산 와송을 보기 힘들다. 와송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대량생산하기 위해 비닐하우스 혹은 밭에서 재배하기 시작했으며 생명력이 강해 재배하는데 어려움은 없다고 한다. 이렇게 재배되는 와송을 노지와송이라고 부른다. 자연산 와송은 대부분 키가 작고 잎이 짧고 작지만 재배된 노지와송은 키가 크며 줄기가 굵고 잎이 넓고 크다. 와송은 두 번의 겨울을 나며 각종 영양분을 응축하는데 2년 차가 되면 하얀..

Nature and People 2023.04.06

동충하초 효능(면역 강화, 감기, 암예방, 항산화 등)과 먹는 방법 / 코디세핀(항암, 항염) / 곡물 동충하초

동충하초가 건강에 좋다는 것은 너무나 잘 알고 있는 사실이고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이다. 중국에서는 동충하초가 늙지 않게 한다는 '불로초'로 불릴 정도로 약성이 뛰어난 것으로 여겼으며 신이 인간에게 주신 특별한 선물로 여겼다. 인삼, 녹용과 함께 동양의 3대 명약인 동충하초는 중국의 진시황제와 양귀비가 애용했다고 전해지고 있으며 장수의 상징으로 전통적인 중국의학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약초이다. 동충하초는 겨울에 곤충 몸에 숨어 있다가 여름에는 풀처럼 자란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동충하초균이 기생하는 곤충은 벌, 개미, 잠자리, 나비, 매미, 딱정벌레 등 매우 다양하다. 가을에 곤충의 애벌레가 땅속을 기어 다니다가 동충하초균에 감염되면 균이 애벌레의 영양분을 흡수하면서 애벌레 몸속에서 포자가 증식하..

Nature and People 2023.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