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ification Full View 540

큰소참진드기 매개로 전파되는 라임병 증상(피부발진, 발열, 피로감, 근육통, 신경손상, 관절염, 심장기능 장애, 만성합병증 등)과 치료 및 급증하는 이유는?

북미 지역의 풍토병으로 알려진 라임병라임병의 국내 감염자가 늘어나면서 라임병 매개 진드기가 국내에 토착화되었다고 지적했다. 질병관리청에 의하면 국내 라임병 한자는 국내 감염자 36명, 해외 유입 환자 8명, 감염 경로 불명 환자 1명 등 총 45명으로 집계했다.라임병이란?진드기가 사람의 피부를 물어 보렐리아 속(Borrelia) 세균이 신체에 침투하면서 발생하는 인수 공통 감염병이다. 보렐리아균은 매독을 유발하는 매독균(Treponema pallidum)과 모두 스피로헤타(Spirochaetota) 계열에 속해 '제2의 에이즈'로 불린다. - 초기 증상 : 감염 후 며칠 내로 피부에 동그란 또는 타원형의 발진(이하 '라임병 발진')이 나타난다. 이 발진은 종종 ‘목련꽃’ 모양처럼 보이며, 크기가 몇 센..

Nature and People 2025.08.15

토종블루베리로 불리는 정금나무열매 효능(항산화, 항암, 눈건강, 심혈관 건강, 면역 등)과 섭취 방법

정금나무열매는 우리나라에서 ‘토종 블루베리’라는 별칭으로 불리는데, 정식 학명은 Vaccinium oldhamii다. 다른 이름으로는 모새나무, 모시나무, 토종 블루베리, 올드햄월귤이라고 불린다. 지역 방언에 따라 부르는 이름이 다르며, 특히 '모새나무'는 전라도, 충청도 쪽에서 많이 쓰이는 별칭이다. '정금'은 머루를 칭하는 전라남도 방언이다. 정금나무는 진달래과(Ericaceae)에 속하는 낙엽성 관목으로 1~3m 높이 정도 자라며, 6~7월에 꽃이 피고 8~9월에 열매가 익는다. 꽃과 붉은색 단풍 그리고 열매가 아름다워 정원수나 공원수로 이용하면 좋다. 우리나라는 경상북도, 충청남도 이남, 서남해안의 산지와 도서, 제주도의 숲속과 풀밭에서 주로 자생하고 국외로는 중국, 일본, 말레이시아, 인도..

Nature and People 2025.08.10

동유럽 공산권에 속한 체코는 왜 공산주의를 법으로 금지하는가?

체코는 20세기 후반, 동유럽 공산권에 속해 있던 국가 중 하나였다. 그러나 소련의 붕괴와 함께 1989년 체코슬로바키아는 벨벳 혁명을 통해 평화적으로 공산 정권을 무너뜨렸고, 이후 체코와 슬로바키아로 분리되며 민주주의 국가로 전환하였다. 이러한 전환의 배경에는 공산주의 체제 하에서 체코 국민들이 겪은 억압, 검열, 정치범 수용, 사상 통제, 자산 몰수, 고문, 심지어 사형까지 이어지는 인권 유린의 역사가 있다. 체코가 공산주의를 금지하게 된 배경1. 공산 정권 하의 억압 1948년 체코슬로바키아는 쿠데타에 가까운 방식으로 공산당이 권력을 장악하였다. 이후 40년 동안 비판 세력은 정치범으로 구금되었고, 언론의 자유는 전면 금지되었다. 소련과의 일방적인 관계 속에서 국민은 사상의 자유를 잃고 감시와 밀고..

Curious Story 2025.07.20

HIV 예방 주사제 ‘예즈투고(Yeztugo)’ FDA 최종 승인, AIDS(에이즈)가 사라진 이유는?

2025년 6월 19일, 미국 식품의약청(FDA)은 길리어드 사이언스(Gilead Sciences)가 개발한 주사제형 HIV-1 예방약 ‘예즈투고(Yeztugo, 성분명: 렌카프라비르 lenacapavir)’를 에이즈(후천성면역결핍증) 예방용(PrEP)으로 최종 승인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세계 최초의 캡시드 억제 기반 PrEP(Pre-exposure Prophylaxis, 노출 전 예방요법) 약물이자, 기존 복용 방식의 불편함을 줄인 장기 지속형 주사제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는 직역하면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라고 할 수 있다. HIV가 우리 몸에 들어와서 면역세포가 파괴되면 그것을 AIDS(Acquired Immune Deficiency ..

Nature and People 2025.07.20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이란 무엇인가? 원인(작은소참진드기)과 증상 및 예방과 치료

진드기 한 마리가 죽음을 부를 수 있다!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은 어떤 병인가?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은 작은 소참진드기가 옮기는 바이러스성 감염병이다. 이름 그대로 고열과 함께 혈소판이 급격히 줄어드는 특징을 가지며, 심할 경우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이어져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치명적인 질병이다. 환자 5명 중 1명이 사망할 정도로 치명률이 약 20%에 달한다. 2010년 중국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이후 한국과 일본에서도 환자가 보고되었다. 한국에서는 특히 4월에서 11월 사이, 진드기 활동이 왕성한 시기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며, 연간 2백여 명의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의 원..

Nature and People 2025.07.19

관상용 실내 식물로 인기인 디펜바키아(Diffenbachia)의 식물 독성, 노출되었을 때 증상과 예방수칙

우리가 흔히 집 안이나 사무실에 두는 실내 식물 중 하나인 디펜바키아(Diffenbachia)는 두툼한 잎과 무늬 덕분에 인테리어 효과가 뛰어나 인기가 많다. 하지만 겉모습과 달리 이 식물에는 강한 독성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서 섭취하거나 피부에 접촉할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영어명이 Dumb Cane(말을 못 하게 하는 지팡이란 뜻)인데 이 식물을 섭취했을 때 일시적으로 말을 못 하게 되는 증상에서 유래했다. 디펜바키아는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고 관상용으로 인기 있는 실내 식물이지만 잎 안에는 유독 성분인 옥살산칼슘이 있다. 직육면체 모양이 바로 독성의 결정체인 옥살산칼슘이다. 옥살산칼슘이 아이의 입술과 혀에 닿을 경우 점막을 손상시켜 말을 할 수 없게 만들고 후두가 붓게 되어 호흡곤란으..

Nature and People 2025.07.13

천연 인슐린 치커리(Chicory) 효능(간기능보호, 장건강, 변비해소, 혈당조절, 혈관건강 등)과 주의할 점

치커리는 국화과(Ast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학명은 Cichorium intybus다. 쌉싸래한 맛이 나는 채소로 우리가 아는 치커리 외에도 실은 종류가 많다. 트레비소, 슈가로프, 치콘, 라디치오, 로사 이탈리아나와 같이 다양한 종류가 있다. 주로 잎과 뿌리를 식용 또는 약용으로 사용하며, 유럽, 서아시아, 북아프리카가 원산지다. 한국에서는 샐러드나 쌈 채소 그리고 비빔밥의 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1700년대 유럽에서는 치커리 뿌리가 커피 대용으로도 이용되기도 했는데 역사적인 스토리가 있다.나폴레옹이 영국 경제에 타격을 주기 위해 대륙봉쇄령을 내리면서 원두를 구할 수 없게 되자 치커리 뿌리를 볶아서 커피 대용으로 차를 만들어 마시게 된 것이다. 이것을 치커리 커피라고 한다..

Nature and People 2025.07.06

꽃송이 버섯의 효능(심혈관 질환 개선, 항염, 항암, 항산화 등)과 섭취 방법 및 주의사항

꽃송이 버섯이란?여름~가을에 깊은 산속에서 볼 수 있는 버섯으로 약효가 뛰어나 '하늘이 내린 선물'이라고 불린다. 꽃송이 버섯은 겉모양이 마치 뇌처럼 복잡하게 주름져 있거나, 양배추 또는 꽃송이처럼 생긴 희귀한 버섯이다. 학명은 Sparassis crispa 또는 Sparassis latifolia이며, 한국에서는 ‘노루궁둥이버섯’과 함께 귀한 약용버섯 중 하나로 꼽힌다. ‘꽃송이버섯’, ‘구름버섯’, ‘칼리플라워 머시룸’이라고도 불린다. 꽃송이 버섯은 흰색이었다가 다 성장하면 노란빛을 띠게 된다. 꽃송이 버섯의 주요 유효성분꽃송이 버섯의 핵심 성분은 베타글루칸이다. https://docall.tistory.com/162 신비의 꽃송이버섯의 믿기지 않는 베타글루칸 함량꽃송이버섯이란? 백색과..

Nature and People 2025.06.30

맨드라미 주요 성분과 효능(눈 건강, 항염, 항산화, 노화방지, 혈관 건강, 혈압 조절 등)및 맨드라미 활용법

맨드라미는 비름과의 한해살이 초본류로 중국 남부와 인도가 원산지이며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고 있다. 봄이 되면 어김없이 새싹이 올라와 여름 내내 붉은색의 꽃을 피우는 우리에게 친숙한 맨드라미 꽃은 옛날에는 장독대 옆에서 닭벼슬을 머리에 이고 살아가는 꽃이었다. 꽃이 닭벼슬 모양을 닮아 동서양이 같은 의미로 "닭벼슬꽃"이라는 뜻으로 동양에서는 "계관화(鷄冠花)", 서영에서는 cockscomb(칵스컴)이라고 한다. 맨드라미라는 이름은 "하늘의 꽃"이라는 "만다라화"에서 유래되었다는 설과 닭벼슬을 뜻하는 강원도 지방의 사투리 "면두" 또는 "맨두"와 접미사인 "아미"가 붙어 맨드라미가 되었다는 설이 있다. 또한 꽃이 맨들맨들한 모양 때문에 맨드라미라고 이름을 붙였다는 설도 있다. 학명은 Celosia(셀로..

Nature and People 2025.06.29

피부 두드리기질환 묘기증이란 무엇이고 원인(스트레스, 면역이상, 알레르기 등)과 해결방법(항히스타민제, 보습, 가습, 수분섭취 등)은?

묘기증이란 무엇인가?피부를 손톱이나 펜 같은 걸로 긁거나 누르면, 그 자국이 선명하게 부풀어 오르고 마치 글씨를 쓴 것처럼 자국이 남는 경우가 있다. 이런 현상은 피부 두드러기의 한 형태로 묘기증(Dermographism)이라 한다. 전체 인구의 약 2~5% 정도가 경험할 정도로 생각보다 흔한 질환이며, 대개는 가볍게 지나가지만 간혹 일상에 불편을 줄 정도로 심해지기도 한다. 안경이 닿은 자국, 머리카락이 스친 자국, 귓속 안 혹은 눈 안까지도 간지러운 경우가 있다. 특히 여름에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약을 바르면 끈끈하고 알레르기 약을 먹으면 너무 졸리는 등의 불편함이 극에 달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체온이 오르면 가려움이 더 심해져 긁다 보면 피가 날 정도다. 최근에는 더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묘기증의..

Usage 2025.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