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ification Full View 471

맹장(충수돌기)은 필요없는 기관일까? 숨은 역할과 기능, 예방 목적으로 미리 제거하는 것은 비추

우리가 흔히 “맹장은 쓸모없다”고 배워왔다. 그래서 (맹장염)충수염이 생기면 단순히 떼어내면 그만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최근 의학 연구에서는 이 기관이 단순한 잔재물이 아니라 면역과 장내 균형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외과의사들은 수련 과정에서 수많은 맹장 수술을 경험한다. 대장암이나 다른 복부 수술을 할 때도 종종 ‘덤’으로 맹장을 함께 절제하는 경우가 있었다. 과거에는 그만큼 ‘쓸모없는 기관’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2차 세계대전 이후 충수염으로 인한 사망률이 줄면서, 단순히 생명을 구하는 수술로만 여겨지던 맹장 절제가 점차 재평가되고 있다.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충수돌기는 장내 유익균을 저장하는 일종의 ‘미생물 저장소(reservoir)’ 역할을..

Usage 17:24:36

과일만 30일 동안 먹는다면 건강해질까? 내 몸에 어떤 변화가 생길까?

과일은 건강의 상징처럼 여겨진다. 자연에서 온 단맛 풍부한 비타민과 식이섬유 ‘30일 동안 과일만 먹으면 더 건강해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 수 있다. 만일 실제로 그렇게 해본다면, 몸은 예상과 전혀 다른 반응을 보일 것이다. 과일의 진짜 정체 “자연의 사탕”과일은 대부분 단순당(단당류)으로 구성되어 있다. 포도당, 과당, 자당이 주성분이며, 이는 인체에 빠르게 흡수되어 혈당을 급격히 올린다. 물론 과일에는 비타민 C, 칼륨, 항산화 물질 등이 풍부하다. 하지만 이런 영양소는 ‘당류’의 강력한 대사 영향력에 비하면 부수적인 역할에 가깝다. 문제는 현대의 과일이 자연 상태의 과일과 다르다는 점이다. 수세기 동안 품종 개량으로 인해 단맛이 훨씬 강해졌고, 수분함량이 높아지며 섬유질은 오히려 ..

Usage 16:41:42

한국산 최악의 독버섯 "붉은 사슴뿔버섯" 생태와 외형 및 독성 성분 ‘트라이코테신(Trichothecene)’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산을 걷다 보면 무심코 시선을 끄는 버섯들이 있다. 색이 곱고 형태가 특이하면 ‘예쁘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버섯은 결코 겉모습으로 판단해서는 안 된다. 매년 한국에서도 독버섯 중독 사고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붉은 사슴뿔버섯(Trichoderma cornu-damae)’은 가장 위험한 버섯 중 하나로 꼽힌다. 이름은 귀엽지만, 그 안에 숨겨진 독성은 방사능 피폭에 비견될 정도다. 붉은 사슴뿔버섯의 생태와 외형 붉은 사슴뿔버섯은 한국과 일본 등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자생하는 독버섯이다. 가지처럼 뻗은 붉은 균사체가 마치 사슴뿔을 닮아 붙은 이름이며, 젖은 표면이 반짝이는 모습 때문에 생약용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과 혼동되기도 한다. 실제로 어린 균사체 단계에서는..

Nature and People 2025.10.12

미래 금융의 혁신,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이란 무엇인가? 디지털 달러의 확산, 새로운 금융 질서의 시작

변동성의 시대, 새로운 돈의 등장가상화폐 시장은 늘 극단적인 변동성으로 대표된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하루에도 수십 퍼센트씩 오르내리며 ‘디지털 자산’의 투기적 이미지를 강화했다. 하지만 최근 등장한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은 이와 정반대의 길을 간다. 가격이 급변하는 대신 달러나 엔화처럼 안정된 가치를 유지하는 디지털 화폐다. 이제 단순한 투자 수단이 아니라, 글로벌 결제와 송금의 미래 금융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다. 스테이블코인이란?스테이블코인은 말 그대로 ‘안정적인(stable)’ 가치의 코인이다. 예를 들어 ‘1USDT’(테더) 혹은 ‘1USDC’(서클)는 항상 1달러의 가치에 연동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누군가 1USDC를 발행하려면 실제로 은행 계좌나 안전자산에 1달러를..

Curious Story 2025.10.12

만약 환율 2,000원이 되는 상황 ‘퍼펙트 스톰’이 왔을 때 환율 급등이 내 지갑에 미치는 영향과 환율 위기 속 생존 전략은?

요즘 환율이 빠르게 오르고 있다. 만약 원·달러 환율이 2,000원까지 치솟는다면, 우리 경제와 내 자산에는 어떤 일이 벌어질까? 이건 단순히 숫자 하나의 변화가 아니다.1997년 외환위기(IMF)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의 국가적 충격을 의미할 수도 있다. 환율 2,000원이 되는 상황 ‘퍼펙트 스톰’이런 극단적인 환율 급등은 한 가지 요인만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대외적 폭풍과 국내 경제 기반 약화, 이 두 가지가 동시에 터질 때 생긴다. ▶ 글로벌 요인 미국이 금리를 지속적으로 올리거나,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해 높은 관세를 부과할 경우 → 달러가 강세로 전환되고, 전 세계 자금이 미국으로 빨려 들어간다. 미·중 갈등 심화로 투자자들이 ‘안전한 시장’만 찾게 된다. 한국은 상대적으로 위험한 ..

Curious Story 2025.10.11

“살만 쪘는데 쓸개에 돌이?” 체지방과 담석의 놀라운 관계, 특히 여성이 많은 이유는?

담석이란 무엇인가?담석은 담낭(쓸개)에 생기는 돌로, 담즙 속의 지질(특히 콜레스테롤), 색소, 무기질 등이 뭉쳐 고체화된 것이다. 담즙은 간에서 만들어지고, 담낭은 그것을 저장해 두었다가 지방이 많은 음식을 먹을 때 장으로 분비해 지방을 유화(분해)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담낭과 담즙은 지방소화의 핵심 기관 및 소화액이다. 따라서 체지방과 담석 형성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체지방과 담석의 직접적 연관 메커니즘① 비만 → 담즙 내 콜레스테롤 농도 상승비만하면 간에서 담즙산보다 콜레스테롤을 더 많이 배출하게 된다. 그 결과 담즙이 콜레스테롤 과포화 상태가 되고, 시간이 지나면 결정화되어 담석이 된다.특히 복부비만(내장지방형 비만) 은 담석 위험을 높인다. 간이 지방으로 과포화되어 담즙 합성 밸런스가..

Nature and People 2025.10.11

인슐린은 ‘지방 저장 호르몬’이다?! 혈당 스파이크를 막으면, 체지방도 줄어든다!

1. 아침 혈당 스파이크(혈당 폭발)가 만드는 악순환많은 현대인이 아침에 빵, 시리얼, 주스처럼 단순당 위주의 식사를 한다. 식사 후 혈당이 상승하면, 췌장은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을 분비한다. 인슐린의 역할은 간단히 말해 “혈액 속의 포도당을 세포 안으로 집어넣는 것”이다. 그런데 이때 혈당이 급격히 올라가면, 인슐린도 과도하게 분비된다. 문제는 여기서부터다. 혈당이 급상승(혈당 스파이크) → 인슐린이 과다 분비 → 잠시 후 급격한 저혈당 → 허기·짜증·피로감이 몰려온다. 결국 또 단것을 찾게 되고, 하루 종일 혈당이 오르내리며 대사 혼란과 비만으로 이어진다. 2. 혈당 스파이크는 왜 위험한가?▷ 인슐린 폭주 → 지방 축적 증가, 인슐린 저항성 악화 ※ 인슐린은 ‘지방 저장 호르몬’이다 인슐린은 단순히 ..

Usage 2025.10.11

논문으로 검증된 당뇨에 가장 좋은 1등 채소는? 녹색잎 채소가 당뇨를 예방하는 이유는?

채소는 당뇨에 좋다고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어떤 채소가 특히 혈당 조절에 도움이 되는가’라는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찾기 어렵다. 실제 전 세계에서 발표된 여러 논문과 메타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당뇨 예방과 혈당 조절에 가장 효과적인 채소가 무엇인지 살펴본다.1. 채소의 분류와 당뇨 예방 연구채소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 녹색잎 채소 : 시금치, 상추, 깻잎 등▶ 십자화과 채소 : 배추, 무, 브로콜리, 케일 등▶ 과일채소 : 오이, 고추, 토마토 등이 중 실제 논문 데이터상 녹색잎채소가 가장 꾸준하게 당뇨 예방 효과를 보였다. 2011년 미국 메타분석: 6개 논문을 분석한 결과, 녹색잎채소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당뇨를 예방함. 2012년 영국 대규모 코호트 연구 (34만 명 참여): ..

Nature and People 2025.10.10

큰소참진드기 매개로 전파되는 라임병 증상(피부발진, 발열, 피로감, 근육통, 신경손상, 관절염, 심장기능 장애, 만성합병증 등)과 치료 및 급증하는 이유는?

북미 지역의 풍토병으로 알려진 라임병라임병의 국내 감염자가 늘어나면서 라임병 매개 진드기가 국내에 토착화되었다고 지적했다. 질병관리청에 의하면 국내 라임병 한자는 국내 감염자 36명, 해외 유입 환자 8명, 감염 경로 불명 환자 1명 등 총 45명으로 집계했다.라임병이란?진드기가 사람의 피부를 물어 보렐리아 속(Borrelia) 세균이 신체에 침투하면서 발생하는 인수 공통 감염병이다. 보렐리아균은 매독을 유발하는 매독균(Treponema pallidum)과 모두 스피로헤타(Spirochaetota) 계열에 속해 '제2의 에이즈'로 불린다. - 초기 증상 : 감염 후 며칠 내로 피부에 동그란 또는 타원형의 발진(이하 '라임병 발진')이 나타난다. 이 발진은 종종 ‘목련꽃’ 모양처럼 보이며, 크기가 몇 센..

Nature and People 2025.08.15

토종블루베리로 불리는 정금나무열매 효능(항산화, 항암, 눈건강, 심혈관 건강, 면역 등)과 섭취 방법

정금나무열매는 우리나라에서 ‘토종 블루베리’라는 별칭으로 불리는데, 정식 학명은 Vaccinium oldhamii다. 다른 이름으로는 모새나무, 모시나무, 토종 블루베리, 올드햄월귤이라고 불린다. 지역 방언에 따라 부르는 이름이 다르며, 특히 '모새나무'는 전라도, 충청도 쪽에서 많이 쓰이는 별칭이다. '정금'은 머루를 칭하는 전라남도 방언이다. 정금나무는 진달래과(Ericaceae)에 속하는 낙엽성 관목으로 1~3m 높이 정도 자라며, 6~7월에 꽃이 피고 8~9월에 열매가 익는다. 꽃과 붉은색 단풍 그리고 열매가 아름다워 정원수나 공원수로 이용하면 좋다. 우리나라는 경상북도, 충청남도 이남, 서남해안의 산지와 도서, 제주도의 숲속과 풀밭에서 주로 자생하고 국외로는 중국, 일본, 말레이시아, 인도..

Nature and People 2025.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