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 27

커큐민 효능(항염, 항산화, 항암, 관절염, 다이어트, 고혈압, 당뇨, 숙취해소)과 부작용 / 강황,울금, 커큐민 복용하면 안되는 사람

인도 아유르베다 의학이나 중국의 고대 의학에서도 강황은 많이 사용된 약재 중에 하나였다. 현대에는 다이어트 목적으로 강황가루를 물에 타서 마시기도 한다. ◈ 커큐민이란? 커큐민은 카레의 노란색을 내는 주성분으로 강황 가루의 약 1~4% 정도가 커큐민이다. 커큐민은 염증에 좋다고 알려지면서 관절염, 피부염 등의 개선을 위해 많은 사람들이 찾기 시작했다. 커큐민의 화학구조를 보면 육각형의 벤젠 고리에 -OH 기가 붙어 있는데 이것을 폴리페놀이라고 한다. 커큐민, 포도씨추출물, 피크노제놀, 빌레리추출물 등이 폴리페놀 구조를 가지고 있다. 폴리페놀은 항산화, 항염작용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 커큐민은 1990년부터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알츠하이머, 치매, 우울증, 관절염, 피부염, 건선, 암 등 다양한 질병에 대하..

Usage 2023.05.08

송담 효능(관절염, 근육통, 고혈압, 당뇨, 기관지, 면역, 항암 등)과 먹는 방법(송담차, 송담 담금주 담는 방법)

등산을 하다 보면 소나무를 감고 있는 넝쿨을 가끔 볼 수 있다. 송담이라고 하는 넝쿨 식물로 소나무의 송진과 좋은 성분을 먹고사는 소나무 담쟁이넝쿨이다. 약재로는 거의 산삼과 버금가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 소나무의 영양분을 먹고 기생하는 송담은 소나무를 시들게 하기 때문에 송담을 채취하는 것은 소나무에게도 좋고 사람에게도 이로운 작업이다. 넝쿨을 잡아당겨보면 밑에는 잘 부러지는데 소나무에 붙어 있는 부분은 잘 떨어지지 않는다. 채취할 때는 소나무 윗부분에 붙어 있는 부분이 잘 떨어지도록 몇 바퀴 돌려주면 떨어진다. 송담은 소나무와 참나무에 기생하는 넝쿨만 식용이 가능하다. 송담은 지름이 1년에 1mm 정도씩 자라는데 지름이 3cm 정도 되면 거의 30년 정도 된 것이다. 송담은 지름이 3cm 이상 되어야..

Nature and People 2023.04.09

익모초 효능(부인과 질환, 혈관성 질환, 신장질환, 항암, 피부염, 피부미용, 눈건강 등)과 익모초의 부작용 및 주의할 점

◈ 익모초란? 익모초는 꿀풀과의 두해살이풀이며, 쑥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종이 다른 꿀풀과 식물이다. 전국의 들에 아주 흔하며 약초로 재배하는 농가도 있다. 익모초의 잎은 깃골로 깊게 갈라지며 크게는 세 부분으로 갈라지는데 맛은 쑥처럼 쓴 맛이 강하다. 줄기는 꿀풀과 식물의 특징인 사각이며 각각의 면에 골이 있고 작은 털이 있다. 다 자란 익모초는 사람키보다 더 크게 자란다. 익모초의 약초명은 경엽(莖葉)이고 약재명은 '익모초' 또는 '충위'라고 하며 지상부 전체를 약재로 사용한다. 씨앗은 '충위자'라고 하며 역시 약재로 사용된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익모초는 성질은 차고, 맛은 맵고 쓰며 무독하다.라고 명기되어 있다. 쓴맛이 강한 약초는 열을 내리고 염증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으며 매운맛은 순환을 촉진하는 ..

Nature and People 2023.04.08

와송 효능(항암, 해독, 고혈압, 당뇨, 아토피, 피부염, 호흡기 질환, 변비, 다이어트 등)과 먹는 방법(와송차, 발효액, 주스, 음식 등) 및 부작용

한국의 5대 항암 약초 '와송' 와송은 오래된 기와지붕이나 산 바위 등에서 자라는 다육식물이다. 瓦 기와 '와' 松 소나무 '송' 자라는 모양이 소나무 잎이나 꽃을 닮았다 하여 '와송'이라고 불린다. 다른 이름으로는 기와솔 또는 바위솔이라고도 부르며 신탑, 탑송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지금은 기와지붕이 많이 없기 때문에 자연산 와송을 보기 힘들다. 와송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대량생산하기 위해 비닐하우스 혹은 밭에서 재배하기 시작했으며 생명력이 강해 재배하는데 어려움은 없다고 한다. 이렇게 재배되는 와송을 노지와송이라고 부른다. 자연산 와송은 대부분 키가 작고 잎이 짧고 작지만 재배된 노지와송은 키가 크며 줄기가 굵고 잎이 넓고 크다. 와송은 두 번의 겨울을 나며 각종 영양분을 응축하는데 2년 차가 되면 하얀..

Nature and People 2023.04.06

동충하초 효능(면역 강화, 감기, 암예방, 항산화 등)과 먹는 방법 / 코디세핀(항암, 항염) / 곡물 동충하초

동충하초가 건강에 좋다는 것은 너무나 잘 알고 있는 사실이고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이다. 중국에서는 동충하초가 늙지 않게 한다는 '불로초'로 불릴 정도로 약성이 뛰어난 것으로 여겼으며 신이 인간에게 주신 특별한 선물로 여겼다. 인삼, 녹용과 함께 동양의 3대 명약인 동충하초는 중국의 진시황제와 양귀비가 애용했다고 전해지고 있으며 장수의 상징으로 전통적인 중국의학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약초이다. 동충하초는 겨울에 곤충 몸에 숨어 있다가 여름에는 풀처럼 자란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동충하초균이 기생하는 곤충은 벌, 개미, 잠자리, 나비, 매미, 딱정벌레 등 매우 다양하다. 가을에 곤충의 애벌레가 땅속을 기어 다니다가 동충하초균에 감염되면 균이 애벌레의 영양분을 흡수하면서 애벌레 몸속에서 포자가 증식하..

Nature and People 2023.04.01

관절과 뼈에 좋은 골쇄보(넉줄고사리) 효능(근골강화, 무릎 허리 통증 개선, 치아 잇몸 건강, 심혈관건강 등)과 먹는 방법

골쇄보는 생약명이며 원래 명칭은 넉줄고사리이고 양치식물 고사리목 넉줄고사리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뼈 골(骨) 부술 쇄(碎) 도울 보(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뼈가 부러졌을 때 빨리 나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한약재이다. 골쇄보(넉줄고사리)는 오래된 고목이나 바위에 붙어사는 식물이다. 뿌리가 옆으로 길게 뻗어 자라는 것이 특징이며 뿌리줄기 마디에서 잎이 나온다. 잎 모양은 일반 고사리와 비슷하고 뿌리 마디마다 뾰족한 돌기가 나와 있으며 갈색 털이 덮여있다. 충청도 이남의 따뜻한 지역에서 잘 자란다. 뿌리줄기를 잘라보면 속이 꽉 차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잘라낸 뿌리줄기를 땅에 꽂아놓으면 뿌리를 내릴 정도로 생명력이 강하다. 골쇄보는 바위 절벽의 암벽이나 고목에서 기생하는 아주 귀한 약초이며 서리가 내린..

Nature and People 2023.03.27

비단풀 효능(항암, 항염, 당뇨, 잇몸질환, 신장, 심장, 혈액순환, 상처, 진통, 여성건강 등)과 먹는 방법

땅에 착달라붙어서 자라는 '비단풀'은 잡초로 여겨지지만 사실 한방에서는 '지금초(地錦草)'로 불리는 약성이 아주 좋은 식물이다. 지 (地) 땅지 금 (錦) 비단금 식물이 자라는 모습이 땅을 덮는 비단 같다 하여 '비단풀'이라고 불리는데 정식 명칭은 '땅빈대'이다. 학명은 Euphorbia supina 햇볕을 잘 받는 곳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나무가 없는 길가나 빈터에 잘 자라는 특성이 있다. 쇠비름과 비단풀은 비슷하게 생겼기 때문에 구분해야 한다. ※ 쇠비름 효능 https://docall.tistory.com/414 쇠비름(마치현, 오행초, 장명채) 효능(고혈압, 심혈관계질환, 당뇨병, 위건강, 만성대장염, 방광 ◈ 쇠비름이란? 쇠비름은 산과 들 어디서든 흔히 볼 수 있는 1년생 초본으로 농촌에서는 잡..

Nature and People 2023.03.23

개똥쑥 효능(항암, 항산화, 항균, 혈액순환, 면역력) / 복용법과 부작용 및 주의할 점

◈ 개똥쑥이란? 국화과 쑥 속에 속하는 일 년생 또는 이년생 풀로 우리나라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흔한 식물이다. 개똥쑥을 뜯어 손으로 비벼보면 개똥과 유사한 냄새가 난다고 붙여진 이름이다. 한약명은 청호(菁蒿)이며 다른 이름으로는 고호(苦蒿), 초호(草蒿)라고도 한다. ◈ 개똥쑥의 효능은? 1. 항산화 및 항균효과 개똥쑥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항산화, 항균효과를 가지고 있어 유해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2. 항암효과 개똥쑥에 함유하고 있는 아르테미신은 다양한 종류의 암에 대한 증식억제 활성을 가지고 있음이 알려져 있다. 3. 혈액순환 개똥쑥은 피를 맑게 해주는 정혈 작용에 좋은 약재이며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만들어준다. 4. 기타 효과 임상시험 결과 구강 점막염, 신경성 피부염, 여름의 ..

Nature and People 2023.02.26

부아메라 열매 오일의 효능(폐와 호흡기질환 예방, 폐암예방, 항암, 항산화, 혈관질환예방, 눈건강, 노화방지, 피부미용)

남태평양 인도네시아 뉴기니 섬의 척박한 고산지대 환경에서 살아남은 원주민인 다니족이 치료제와 식량으로 섭취한 부아메라 열매! 인도네시아어로 부아(Buah) : 열매 메라(Merah) : 빨갛다 부아메라 열매는 최대 8m까지 자라는 레드 판다누스 나무(부아메라 나무) 한 그루에 열매가 3~4개 열린다. 부아메라 열매는 1년에 두 번만 채집이 가능하며 크기는 최대 1m 무게는 10kg까지 나가는 대형 열매이다. 매우 딱딱한 부아메라 열매는 1kg에서 오일 23g 정도 나오는 귀한 음식으로 인도네시아에서는 귀한 손님에게 대접한다. 부아메라 열매 오일의 색은 붉은색이며 붉은색 색소에는 카로티노이드 성분이 다량 함유하고 있는데 카로티노이드에는 루테인, 베타카로틴, 베타크립토잔틴과 같은 항산화 성분들이 속해있다. ..

Usage 2023.01.26

까마중 효능(항암, 혈관, 기관지, 피부, 불면증, 원기회복 등) / 까마중 먹는 방법(담금주, 효소, 차 등)

토종 블루베리라고 불리는 까마중은 어릴 적 산에서 한 번쯤은 열매를 먹어봤을 것이다. 열매의 모양이 까만 머리를 한 중을 닮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까마중은 세계적으로 약용,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어 온 식물로 우리나라 전국의 밭이나 길가에서 자라는 1년생 초본 식물이다. 5~7월 경에 흰색 꽃이 핀다. 까마중 열매는 9월 ~ 11월경에 둥글고 검게 달린다. 토종 까마중 열매는 그 크기가 작은 편이다. 까마중 전초에는 플라보노이드, 루틴, 아스파라긴, 솔라구스틴, 시토스테롤, 탄닌질 등 다양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잎에는 아스코르브산, 카로틴 뿌리에는 알칼로이드와 사포닌 익은 열매에는 글리코알칼로이드, 사포닌, 안토시안, 베타카로틴, 아스코르브산 등을 함유하고 있다. 맛은 쓰고 약성은 차며 주..

Nature and People 2023.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