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염 18

측백나무 효능(탈모예방, 자양강장, 지혈, 뼈건강, 고혈압, 중풍 예방, 항염, 항산화 등) 및 먹는 방법과 부작용

측백나무는 상록침엽수로 사시사철 푸른색을 띠며 20m 높이까지 자라는 큰 나무다. 하지만 자주 채취해 간 데다가 생육지가 나빠서 큰 나무가 별로 남아있지 못하다. 측백나무는 최대 800년 이상의 수명을 가지고 있다. 예로부터 신선이 되는 나무로 여겨져 왔으며 측백엽은 성질이 차고 쓰면서 봄가을 어린 가지잎을 채취하여 그늘에 말리고 구증구포(아홉 번 찌고 아홉 번 말리는 과정) 과정을 거친 후 가루를 내어 복용한다. 동의보감에는 측백나무에 대하여 1년 복용하면 10년, 2년 복용하면 20년을 무병장수할 수 있다고 하였다. 측백나무는 장염, 비염, 각종 염증, 질병 예방 및 항산화 작용 등 다양한 효능을 가진 약용 식물로 여겨져 왔다. 흰머리를 검게 만들고 탈모를 예방하기도 하며 측백나무의 씨(백자인)는 심..

Nature and People 2023.03.24

비단풀 효능(항암, 항염, 당뇨, 잇몸질환, 신장, 심장, 혈액순환, 상처, 진통, 여성건강 등)과 먹는 방법

땅에 착달라붙어서 자라는 '비단풀'은 잡초로 여겨지지만 사실 한방에서는 '지금초(地錦草)'로 불리는 약성이 아주 좋은 식물이다. 지 (地) 땅지 금 (錦) 비단금 식물이 자라는 모습이 땅을 덮는 비단 같다 하여 '비단풀'이라고 불리는데 정식 명칭은 '땅빈대'이다. 학명은 Euphorbia supina 햇볕을 잘 받는 곳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나무가 없는 길가나 빈터에 잘 자라는 특성이 있다. 쇠비름과 비단풀은 비슷하게 생겼기 때문에 구분해야 한다. ※ 쇠비름 효능 https://docall.tistory.com/414 쇠비름(마치현, 오행초, 장명채) 효능(고혈압, 심혈관계질환, 당뇨병, 위건강, 만성대장염, 방광 ◈ 쇠비름이란? 쇠비름은 산과 들 어디서든 흔히 볼 수 있는 1년생 초본으로 농촌에서는 잡..

Nature and People 2023.03.23

사프란(샤프란) 효능(항산화, 항염, 항우울증, 심신안정, 혈액순환, 뇌 기능개선, 피부미용 등)과 부작용 및 주의할 점

세계에서 가장 비싼 향신료~ 황금보다 더 비싼 향신료~ 향신료 중 최고 몸값을 자랑하는 사프란(샤프란) 수확 방식이 까다로운 사프란은 지금도 여전히 향신료 중 최고 몸값을 자랑할 정도로 귀한 대접을 받고 있다. 크로커스 꽃의 암술을 채취 건조하여 향신료로 사용하는데 이것을 사프란이라고 한다. 많은 사람들은 샤프란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붓꽃과 여러해살이 알뿌리 화초로 학명은 크로커스 사티브스(Crocus Sativus)이다. 잎은 솔잎처럼 가늘고 단단하며 중앙에 골을 따라 흰색 줄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뿌리는 마늘 혹은 쪽파와 닮았으며 꽃은 11월경부터 볼 수 있으며 보라색의 꽃이 핀다. 과거에 향신료의 여왕이라 불리는 사프란은 같은 무게의 금보다 더 비싼 향신료였다. 향신료 중에서 두 번째로 비싸다..

Nature and People 2023.03.16

천문동 효능(폐, 만성기관지염, 폐결핵, 마른기침, 가래, 면역력, 장건강, 항균, 항염, 항산화 등)과 천문동 먹는법

천문동은 "달리는 말을 따라잡을 정도로 체력을 길러준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는 약초이다. 조선시대 효종은 폐가 약해 기침과 가래로 고생했는데 이때 복용했던 약이 청폐탕인데 여기에 들어가는 약재가 천문동이다. 천문동(天門冬)은 '하늘로 올라가는 문을 열어주는 겨울 약초'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천문동을 오랫동안 먹으면 신선이 되어 하늘에 오를 수 있다는 설이 있었다. 80세까지 장수했던 영조가 애용했던 약재도 바로 천문동이었다. 천문동은 '폐에 기가 차서 숨이 차고 기침하는 것을 치료하고 피를 토하는 것을 멎게 하며 마음을 진정시켜 주며 소변이 잘 나오도록 한다'라고 명기되어 있다. 천문동은 백합과 다년생 덩굴식물이다. 줄기에는 가시가 있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섬이나 산간지역에서 주로 자생하는데 뿌리는..

Nature and People 2023.02.09

구절초 효능(관절 통증 개선, 연골보호 등) / 기능성 원료로 인정받은 구절초추출물

구절초는 그 종류만 해도 40여 종이나 되며 통칭해서 들국화라고 부른다. 구절초는 들국화의 일종으로 다년생 초본으로 가을에 흰꽃과 자주색 꽃이 핀다. 꽃말은 '어머니의 사랑'이다. 구절초는 가을에 꽃이 필때 약성이 가장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약재로 사용할 때는 가을 한 철만 수확을 한다. 마디가 9개로 갈라지는 9~11월 사이에 구절초(九節草)의 꽃과 잎 그리고 줄기와 뿌리까지 수확하여 가을 햇볕에 잘 말려서 약재로 사용한다. 마디가 9개가라서 구절초라는 이름이 붙었다고도 하며 9월 9일에 가장 약효가 뛰어나다 하여 구절초라고도 한다는 설이 있다. 한약명은 고의(苦薏), 의국(薏菊)으로 부른다. 노란색 국화꽃은 감국(甘菊)이라고 하는데 단맛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감국은 꽃이 활짝 피기 전..

Nature and People 2022.10.10

진득찰 추출물 효능(당뇨 혈당 개선, 항염, 항암, 항산화, 혈압강하 등)과 진득찰 단백질이란?

◈ 진득찰이란? 진득찰은 국화과에 속하는 일 년생 초본식물로 논과 들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8~9월경에 피는 꽃에는 진득진득하고 찰싹 달라붙는 물질이 있고 열매도 사람 옷이나 동물 털에 달라붙으면 잘 떨어지지 않는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 '진득찰'이라고 한다. 잎은 넓고 줄기는 둥글며 갈색의 반점이 세로로 들어있다. 진득찰의 어린잎은 데쳐서 나물무침이나 된장국 그리고 묵나물볶음으로 먹을 수 있다. 진득찰은 뿌리를 제외한 지상부 전체를 약재로 사용하는데 한약명으로는 '희렴(희첨)'이라고 하며 옛부터 우리나라와 중국에서는 중요한 약재로 사용되었다.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꽃핀 지상부를 채취해서 건조시킨 후 약재로 사용한다. 본초강목에 진득찰은 중풍이 오래 되어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라고 명기되어 있다. 맛은..

Nature and People 2022.08.27

천연 항염성분인 '판두라틴'이 다량 함유된 '핑거루트' 효능(체지방 감소, 다이어트, 항염증, 피부보호 등)

'비너스의 손'으로 불리는 '핑거루트' ◈ 핑거루트(Finger Root)란? 핑거루트(Finger Root)는 생강(Zingiberaceae)의 일종이다.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요리할 때 향신료로 많이 쓰이며 인도네시아에서는 만병통치약으로 알려져 왔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예부터 핑거루트가 근육통, 관절염, 충치, 위장장애 등 수도 없이 많은 질병에 효능이 있다 하여 활용되어 왔다. 특히, '비너스의 손'이라고 불리어질 정도로 여성의 피부를 보호해주고 피를 맑게 해 주며 자궁을 깨끗하게 해주는 여성 전용 약재로 인식되었다. 현대에 와서 핑거루트를 연구한 결과 실제 체지방 감소와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는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다양한 효과는 핑거루트 속 '판두라틴' 성분이라는 것을 ..

Nature and People 2022.06.29

슈퍼푸드 모링가 효능(해독, 항염, 항암 등) / 만성염증 자가진단 / 당독소 자가진단

◈ 모링가(Moringa)란? 모링가는 인도와 아프리카 등에서 자생하는 콩과 식물이다. 가장 널리 재배되는 종은 인도 북부 히말라야 산맥에서 자생하는 모링가 올레이페라(Moringa Oleifera)다. 인도의 시장에서는 모링가의 잎과 열매가 식재료로 판매되고 있다. 건조하고 척박한 땅에서 잘 자라는 식물로 땅이 풍요롭지 않아도 재배할 수 있다. 뿌리를 깊게 박아 영양소를 충분히 흡수하기 때문에 특별한 관리나 비료를 하지 않아도 잘 자란다. 다른 식물이 자라기 힘든 지역에서도 매우 잘 자란다. 오래된 나무에서 새 줄기가 나면 그것을 뽑아 다시 땅에 심으면 심은지 40일 만에 40cm가 자라며 최대 2m까지 큰다. 모링가 나무는 척박한 땅에서 잘 자랄 뿐 아니라 영양소를 듬뿍 담고 있고 뿌리, 줄기, 잎,..

Nature and People 2022.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