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생충'이라는 말은 대개 혐오감을 불러일으킨다. 하지만 과학적으로 기생충은 단지 불쾌한 존재를 넘어 암을 유발하는 생물학적 요인이 될 수 있다.
실제로 세계보건기구(WHO)는 일부 기생충을 Group 1 발암인자로 분류하고 있다.
담배, 석면, 방사선과 같은 등급이다.
기생충이 어떻게 암을 유발하는지, 어떤 종류의 기생충이 발암성과 연관되어 있는지, 그리고 그 생물학적 메커니즘은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기생충이 암을 유발한다"는 주장은 부분적으로 사실이다.
일부 기생충은 특정 종류의 암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이 과학적으로 입증되어 있다. 하지만 "모든 기생충이 암을 유발한다"는 식의 일반화된 표현은 과장일 수 있다.
아래에 실제 과학적으로 밝혀진 내용을 정리해 본다.
1. Clonorchis sinensis (간흡충, 일명 간디스토마)
감염 경로 : 민물고기를 날것 또는 덜 익혀 섭취할 때
서식 부위 : 간 내부의 담관
유발 암 : 담관암 (cholangiocarcinoma)
지역 : 한국, 중국, 베트남, 러시아 등 동북아시아
WHO 등급 : Group 1 (명백한 발암물질)
이 기생충은 담관 내에 수십 년간 기생하며 만성 염증, 담즙 정체, 상피세포 변형을 일으킨다. 지속적인 자극과 면역 반응이 결국 DNA 손상과 세포 분열 이상을 초래한다.
2. Schistosoma haematobium (방광 주혈흡충)
감염 경로 : 오염된 물에서 피부를 통해 유입
서식 부위 : 방광 및 비뇨기계 혈관
유발 암 : 방광암 (squamous cell carcinoma)
지역 :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이집트 등
WHO 등급 : Group 1
이 기생충은 방광 벽에 침투해 만성 출혈, 염증, 섬유화를 일으키며, 암 발생 환경을 조성한다.
기생충이 암을 유발하는 메커니즘은 무엇인가?
기생충은 단순히 기계적으로 자극만 주는 게 아니다.
여러 생물학적 과정이 암 발생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한다.
1. 만성 염증
지속적인 면역 반응은 자유라디칼(ROS, RNS)을 생성하며, 이는 DNA 손상의 주요 원인이다. 이 손상이 복구되지 않으면 세포는 돌연변이를 갖게 된다.
2. 세포 증식 자극
기생충은 조직을 지속적으로 자극하며 세포의 과증식을 유도한다. 이 과정에서 세포주기의 통제력이 약해지면 암세포로의 이행 가능성이 높아진다.
3. 면역 회피 및 조절 장애
기생충은 숙주의 면역 시스템을 교란하거나 무력화시킨다. 이로 인해 돌연변이 세포가 면역 감시에서 벗어나 살아남을 수 있다.
4. 2차 감염 및 미생물 변화
기생충 감염은 종종 박테리아, 바이러스와의 공감염(co-infection*을 유도하며, 장내 미생물 생태계를 바꾸어 염증 기반 환경을 장기화시킨다.
왜 이 문제는 과소평가되어 왔나?
기생충 감염은 흔히 가난한 지역의 문제로 치부되었고 암은 유전이나 환경오염 같은 더 큰 요인에 가려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WHO와 국제암연구소(IARC)는 기생충과 암의 인과관계를 분명히 인식하고 경고해 왔다.
기생충 감염은 생활습관과 위생 관리로 충분히 예방 가능
- 민물고기 회는 간흡충 감염의 주요 원인이기 때문에 생선은 반드시 익혀 먹는 것이 좋다.
- 아프리카, 동남아 여행 시 물놀이를 주의해야 한다.
- 정기적인 구충제를 복용하는 것이 좋다. 특히 위험 지역에 거주하거나 여행한 경우
- 깨끗한 물과 손 씻기 습관은 기본 중 기본(식수 위생 관리)
알벤다졸이 항암효과가 있다?
항기생충제인 알벤다졸(Albendazole)이 암세포에 효과를 보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일부 존재하며, 이는 단순히 우연이 아니라 과학적 기전에 근거한 주장이다. 하지만 중요한 점은, 이것이 공식적인 암 치료제로 승인된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항암 효과는 별개의 작용기전에서 나온다.
알벤다졸의 항암 효과 : 현재까지의 과학적 사실
연구에 따르면, 알벤다졸은 암세포의 미세소관을 방해하여 암세포 분열을 억제하거나 사멸시키는 항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작용기전 :
- 세포 분열 저해 : 미세소관 억제 → 암세포 분열 정지
- 혈관신생 억제 : 종양 주변 신생혈관 형성 차단 → 종양 성장 억제
- 암세포 사멸 유도 (apoptosis)
알벤다졸의 항암 효과 연구 사례
1. 암세포 실험에서의 효과
간암, 유방암, 폐암, 흑색종 등 다양한 암세포주에서 알벤다졸이 세포 성장 억제를 유도했다. 특히 혈관신생 억제(anti-angiogenesis) 작용도 보고되었으며 종양 성장의 차단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2. 동물실험
생쥐 실험에서 알벤다졸 투여 시 종양 크기가 감소되었다고 보고된 바 있다.
3. 사람 대상 연구
아직 초기 단계로 일부 희귀 암(예: 간엽육종) 등에서 실험적으로 사용된 사례는 있다. 하지만 대규모 임상시험이나 FDA 승인된 치료는 아니다.
한계와 주의사항
알벤다졸이 공식 치료제로 아직 승인되지 않았으며 기생충 치료보다 훨씬 많은 고용량을 섭취하기 때문에 간독성과 골수억제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과학적으로 많은 연구 중인 분야이며 가능성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알벤다졸 유도체(예: 메벤다졸, 펜벤다졸 등)를 활용한 항암 신약 개발을 시도 중이다.
'Us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걀에 대한 속설(생달걀과 탈모, 알끈, 노른자 콜레스테롤 등)과 하루 몇 개까지 먹어도 될까? (0) | 2025.06.22 |
---|---|
알부민이란? 알부민이 부족하면 생기는 현상과 알부민의 효능(혈관건강, 항산화, 항염, 해독, 간 건강, 면역력 등) (1) | 2025.06.19 |
나이 들수록 단백질이 부족해지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효과적인 단백질 섭취 방법은? (2) | 2025.06.08 |
오메가3 지방산의 부작용(심방세동)에 대한 식약처의 조치와 오메가3를 피하거나 중단해야 하는 경우는? (3) | 2025.06.08 |
급사로 연결되는 무서운 질병 '대동맥류(Aortic Aneurysm)'가 무엇이고 왜 위험한가? 자가진단법(엄지-손바닥 테스트 ; Thumb-Palm Test) (0) | 2025.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