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몇 년간 ‘탄소중립’이라는 말이 당연한 듯 받아들여지고 있다.
탄소 배출을 줄이고, ESG 경영을 실천하며, 재생에너지를 확대하는 게 시대의 사명처럼 여겨진다.
하지만 과연 이 모든 담론이 ‘진짜 과학적 사실’ 위에 서 있는 걸까?

IPCC와 그 오래된 논란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는 유엔 산하 기후변화 정부간 협의체다.
1988년에 설립되어 주기적으로 ‘기후변화 평가보고서(Assessment Report)’를 발간한다.
문제는 이 보고서가 발표될 때마다 기후 데이터의 신뢰성 논란이 반복되어 왔다는 점이다.
2009년에는 일명 ‘Climategate’ 사건이 있었다.
당시 일부 연구자의 이메일이 유출되며, 온도 상승 자료 일부가 의도적으로 편향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IPCC의 4차 보고서(2007)에서 “2040년까지 북극 빙하가 사라질 것”이라는 예측도 대표적인 논란이었다.
2025년이 된 지금, 북극은 여전히 존재한다.
일부 위성 데이터에서는 일시적으로 빙하 면적이 줄었다가 다시 늘어나는 주기적 변화도 관찰된다.

북극곰과 ‘감성의 과학’
기후 담론의 상징 중 하나는 북극곰이다.
‘북극곰이 굶어 죽는다’, ‘서식지가 사라진다’는 메시지는 환경운동의 대표 이미지로 사용됐다.
하지만 최근 캐나다 야생동물국의 자료에 따르면 북극곰의 개체수는 과거보다 오히려 증가한 지역도 있다.
물론 지역별로 감소하는 곳도 있지만, 전체적 멸종 위기라고 보긴 어렵다.
더 흥미로운 점은 ‘잡종 북극곰’의 등장이다.
북극곰과 회색곰의 교잡으로 탄생한 종이 캐나다 북부에서 관찰되고 있다.
이는 기후 변화로 서식 범위가 겹치며 생긴 자연스러운 진화적 결과로 해석된다.
‘멸종’과 ‘적응’은 자연의 순환 과정이지, 단순히 인간이 구분할 선악의 문제가 아니다.

기후는 원래 주기적으로 변한다
빙하 코어와 고기후 연구에 따르면, 지구의 기후는 수천 년 단위로 냉각기와 온난기를 반복해왔다.
로마 시대에는 지금보다 더 따뜻했고, 노르웨이의 만년설 아래에서는 철기시대 유물이 발견되고 있다.
미국 로키산맥에서는 눈이 녹으며 6천 년 전 소나무 숲의 흔적이 드러났다.
즉, 지금의 온난화는 인류 문명 이전에도 반복된 자연 현상일 가능성이 높다.
“이산화탄소는 정말 주범인가?”
지구 대기의 99%는 질소(약 78%)와 산소(약 21%)로 이루어져 있다.
이산화탄소는 약 0.04% 수준에 불과하다.
물론 CO₂는 온실가스로 작용하지만, 기후 시스템 전체에 미치는 영향력은 수증기(water vapor)보다 훨씬 작다는 연구가 많다.
실제로 NASA와 여러 기상학 논문에서는 수증기가 전체 온실효과의 60~90%를 차지한다고 분석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탄소만 강조되는 이유는 간단하다.
돈이 되기 때문이다.
탄소배출권 거래, ESG 투자, 친환경 산업 등은 모두 거대한 경제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환경의 이름 아래 움직이는 ‘기후 산업’이 존재하는 셈이다.
진짜 문제는 탄소가 아니라 ‘쓰레기’
기후 문제의 본질은 탄소가 아니라 생태계 파괴다.
매년 전 세계 어업 활동 중 약 40%의 그물이 회수되지 못하고 바다에 버려진다.
이 ‘유령 그물(ghost net)’이 해양 생태계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
플라스틱과 미세섬유도 마찬가지다.
이런 명백한 환경오염 문제에는 관심이 덜하고, 측정하기 어려운 탄소 수치만 강조되는 것은 아이러니다.

노벨상 물리학자의 반론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존 F. 클라우저(John F. Clauser) 박사는 최근 인터뷰에서 “지구는 기후 위기 상태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그는 기후 모델들이 수증기 구름의 영향을 과소평가하고 있으며, 탄소 배출과 온도 상승 간의 인과관계가 과장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즉, 기후 변화는 존재하지만, 그것을 ‘탄소 탓’으로 단순화하는 것은 비과학적이라는 입장이다.

지구는 지금도 변하고 있다.
하지만 그 변화의 원인이 무엇인지, 또 그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는 감성이 아니라 데이터로 판단해야 한다.
기후를 걱정하는 마음은 선의이지만, 그 선의가 정치적·경제적 목적에 이용될 때 진짜 문제는 시작된다.
지구를 지키려면 탄소를 줄이는 캠페인보다
쓰레기를 줄이는 실천이 더 현실적일지도 모른다.
'Nature and Peop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한국산 최악의 독버섯 "붉은 사슴뿔버섯" 생태와 외형 및 독성 성분 ‘트라이코테신(Trichothecene)’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1) | 2025.10.12 |
|---|---|
| “살만 쪘는데 쓸개에 돌이?” 체지방과 담석의 놀라운 관계, 특히 여성이 많은 이유는? (0) | 2025.10.11 |
| 논문으로 검증된 당뇨에 가장 좋은 1등 채소는? 녹색잎 채소가 당뇨를 예방하는 이유는? (0) | 2025.10.10 |
| 큰소참진드기 매개로 전파되는 라임병 증상(피부발진, 발열, 피로감, 근육통, 신경손상, 관절염, 심장기능 장애, 만성합병증 등)과 치료 및 급증하는 이유는? (5) | 2025.08.15 |
| 토종블루베리로 불리는 정금나무열매 효능(항산화, 항암, 눈건강, 심혈관 건강, 면역 등)과 섭취 방법 (2) | 2025.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