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맥혈전이란 무엇인가?
정맥혈전은 말 그대로 정맥 안에 혈전(피떡)이 생기는 질환이다.
정상이라면 혈액은 정맥 안을 부드럽게 흐르지만, 어떤 원인으로든 혈액이 응고되어 덩어리(혈전)를 만들게 되면 혈관을 막거나 좁히게 된다.
이 혈전은 특히 다리 깊은 곳 정맥(심부정맥, Deep Vein)에서 많이 생기기 때문에, 흔히 심부정맥혈전증(DVT, Deep Vein Thrombosis)이라고도 부른다.
혈전이 정맥 안에 머무르다가, 떨어져 나가서 폐혈관을 막으면 폐색전증(Pulmonary Embolism)이라는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생명까지 위험해진다.
◈ 정맥혈전의 주요 증상
정맥혈전은 초기에는 별 증상이 없을 수도 있지만, 혈관을 막기 시작하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 다리 부종
한쪽 다리만 붓는 경우가 많다. 양쪽 다리 모두 붓는 경우는 드물다.
- 통증
다리 깊은 곳이 뻐근하거나 쿡쿡 쑤시는 통증이 있다. 움직일 때 통증이 심해진다.
- 피부색 변화
붓는 부위가 푸르스름하거나 붉게 변할 수 있다.
- 열감
혈전이 생긴 부위가 주변보다 따뜻하게 느껴진다.
- 폐색전증 증상 (혈전이 폐로 이동한 경우)
갑작스러운 호흡곤란, 가슴통증, 심한 경우 기절하거나 사망할 수도 있다.
미국 데이터를 보면 혈관 관련 사망률에서 심부정맥혈전증과 동반된 폐색전증이 3위를 차지하고 있다.
◈ 정맥혈전의 원인
정맥혈전이 생기는 주요 원인은 다음 세 가지로 정리된다. (이걸 Virchow's Triad라고 부른다)
- 혈류 정체
오래 누워 있거나 앉아 있는 경우 (수술 후, 장거리 비행, 입원 등)
- 혈관벽 손상
외상, 수술, 염증 등으로 인해 정맥벽이 손상되면 혈전이 잘 생긴다.
- 혈액 응고 과다
유전적 요인, 암, 임신, 피임약 사용, 비만 등이 관련된다.
◈ 정맥혈전의 치료 방법
치료는 크게 세 가지 방향으로 진행된다.
1. 항응고 치료 (가장 기본)
혈전을 키우지 않고 새로운 혈전 생성을 막는다.
<사용약물>
- 헤파린(Heparin) : 주사로 투여
- 와파린(Warfarin) : 경구 복용, 혈액검사(INR)로 농도 조절 필요
- NOACs(신형 항응고제) : 리바록사반, 아픽사반 등. 복용 편하고 모니터링 필요 적음.
2. 혈전 용해술 (심한 경우)
이미 생긴 혈전을 빠르게 녹인다.
<방법>
혈전 용해제를 주사하거나, 혈관 안에 카테터를 넣어 직접 혈전을 제거한다.
3. 혈관 내 필터 삽입
혈전이 폐로 이동하는 걸 막는다.
<방법>
하대정맥(IVC)에 필터를 삽입.
주로 항응고 치료가 어려운 환자에게 시행.
'Us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의 뼈전이가 무서운 이유와 증상들 및 뼈전이 검사와 치료 / 뼈전이 예방법은? (0) | 2025.04.30 |
---|---|
'배를 삶아 먹으면 간이 좋아진다' 과연 이 말이 사실일까? 해독, 항염, 심혈관 건강에 좋은 배 (0) | 2025.04.20 |
입에서 쓴 맛이 느껴지는 원인(염증, 구강 건조증, 구강작열감증후군, 약물, 역류성 식도염, 스트레스 등)과 병원에 가야 할 때는? (0) | 2025.04.16 |
피부암의 종류 (흑색종이 가장 악성, 기저세포암, 편평세포암) 흑색종(melanoma)의 증상과 치료 (0) | 2025.04.13 |
간경화 환자를 위한 BCAA 완벽 가이드 – BCAA란 무엇이고 그 효능, 섭취법, 대체 영양까지 총정리! (0) | 2025.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