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가면역질환이란?
자가면역질환(autoimmune disease)은 면역체계가 정상적인 신체 조직을 외부 침입자로 오인하여 공격하는 질환을 말한다. 원래 면역체계는 세균, 바이러스 같은 외부 병원체를 인식하고 방어하는 역할을 하지만, 자가면역질환이 발생하면 신체의 정상적인 세포와 조직을 공격하게 된다.
◈ 자가면역질환의 원인
T세포는 면역 반응을 조절하고 병원체를 제거하는 데 필수적인 백혈구의 일종이다. 하지만 자가면역질환에서는 T세포가 자기 조직을 외부 침입자로 오인하고 공격하면서 질환이 발생한다.
한마디로 면역체계의 오작동이다.
<<T세포의 종류와 역할>>
T세포는 흉선(가슴샘)에서 성숙하며, 크게 두 가지 주요 유형으로 나뉜다.

▶ 헬퍼 T세포 (CD4+ T세포)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B세포와 다른 면역세포를 활성화하여 항체 생산과 면역 반응을 촉진한다.
자가면역질환에서는 헬퍼 T세포가 과도하게 활성화되면서 자기 조직에 대한 공격을 유도할 수 있다.
▶ 세포독성 T세포 (CD8+ T세포)
감염된 세포나 비정상적인 세포(예: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여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자가면역질환에서는 정상 세포를 병원체로 오인하고 공격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면역반응을 억제하는 조절 T세포(Treg, Regulatory T cells)가 있는데, 이 세포의 기능이 저하되면 면역계가 자기 조직을 과도하게 공격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 대표적인 자가면역질환
자가면역질환은 다양한 기관과 조직을 공격할 수 있으며, 그 종류도 매우 많다. 대표적인 질환을 몇 가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류마티스 관절염 (Rheumatoid Arthritis, RA)
CD4+ T세포 과활성화로 주로 관절을 공격하여 염증과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시간이 지나면서 관절 변형과 기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
2. 전신 홍반 루푸스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조절 T세포 기능 저하, CD4+ T세포 과활성화로 피부, 관절, 신장, 심장 등 여러 장기에 염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만성 피로, 발진(특히 나비 모양의 얼굴 발진), 관절통 등이 특징적이다.
3. 1형 당뇨병 (Type 1 Diabetes)
면역체계(CD8+ T세포)가 췌장의 인슐린 분비 세포를 공격하여 혈당 조절이 어려워지는 질환이다. 평생 인슐린 치료가 필요하다.
4. 강직성 척추염 (Ankylosing Spondylitis)
CD8+ T세포가 척추와 골반 관절을 주로 공격하여 만성적인 통증과 뻣뻣함을 유발한다.
시간이 지나면서 척추가 굳어지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5. 다발성 경화증 (Multiple Sclerosis, MS)
면역체계(CD4+ T세포)가 신경을 감싸고 보호하는 수초(myelin)를 공격하여 신경 기능에 이상을 초래한다.
중추신경계를 공격하여 근력 저하, 감각 이상, 균형 감각 문제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 외에도 100여 가지나 되는 질환들이 있다.
아토피,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등
모두 다른 병 같지만 모두 면역 체계에 혼란이 생긴 것이다.
비정상적인 면역세포(T세포)가 원인이 되는 질환이다.
◈ T세포를 조절하는 치료법
T세포의 이상 반응을 조절하는 것이 자가면역질환 치료의 핵심이다.
주요 치료법은 다음과 같다.
1. 면역억제제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e), 타크로리무스(Tacrolimus): T세포의 활성화를 억제하여 면역 반응을 조절한다.
2. 생물학적 제제(항체 치료)
항-T세포 항체 (ex: Alemtuzumab): 과활성화된 T세포를 직접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CTLA-4 억제제 (ex: 아바타셉트, Abatacept): T세포 활성화를 차단하여 면역 반응을 완화한다.
3. 조절 T세포 강화 치료
Treg 세포 요법: 조절 T세포를 증가시켜 과도한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4. 항염증 치료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T세포의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데 사용됨.
◈ 승인된 치료제와 개발 유망한 치료제
1. 다발성 경화증(MS)
▷ 최근 승인된 치료제
- Ocrevus Zunovo: 2024년 9월, 미국 FDA는 Ocrevus Zunovo를 승인하였다. 이 약물은 기존의 Ocrevus(ocrelizumab)와 hyaluronidase의 복합제로, 연 2회 약 10분간의 피하 주사로 투여된다. 재발형 MS와 원발성 진행형 MS 모두에 사용 가능하다.
- Briumvi (Ublituximab-xiiy): 2022년 FDA 승인을 받은 이 약물은 재발형 및 활동성 2차 진행형 MS 치료에 사용된다. 정맥 주사로 투여되며, 특정 면역 세포의 항체 생성을 억제하여 뇌와 척수의 손상을 방지한다.
▷ 개발 중인 유망한 치료제
- Tolebrutinib: 2024년 12월, FDA는 비재발성 2차 진행형 MS 치료제로 tolebrutinib에 대해 혁신 치료제 지정을 부여하였다. 이는 HERCULES 연구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 tolebrutinib은 뇌에 침투하는 BTK 억제제로 주목받고 있다.
- Fenebrutinib: BTK 억제제인 이 약물은 현재 임상 3상 시험 중이며, 2024년 9월 발표된 임상 2상 결과에 따르면, 치료받은 환자의 96%가 1년 후 재발 없이 지냈다.

2. 강직성 척추염(AS)
▷ 최근 승인된 치료제
- JAK 억제제: 2022년 12월, 미국 FDA는 우파다시티닙(Upadacitinib)을 AS 치료제로 승인했다. 이 약물은 JAK1 효소를 선택적으로 억제하여 염증 반응을 줄이는 경구용 치료제다.
- IL-17 억제제: 2023년 5월, 세쿠키누맙(Secukinumab)의 피하 주사 제형이 승인되었다. 인터루킨-17A를 표적으로 하여 염증을 억제하는 생물학적 제제다.
▷ 개발 중인 유망한 치료제
- IL-23 억제제: 구셀쿠맙(Guselkumab)은 인터루킨-23을 억제하는 약물로, 현재 AS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3상 시험이 진행 중이다. 초기 결과가 긍정적이라 향후 승인 가능성이 높다.
- Tyk2 억제제: 데우크라바시티닙(Deucravacitinib)은 Tyk2 효소를 억제하여 염증 반응을 조절하는 경구용 약물이다. 현재 AS 치료를 위한 임상 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3. 1형 당뇨병
▷ 최근 승인된 치료제
- 테플리주맙(Teplizumab): 2022년 미국 FDA에서 승인된 단일클론 항체로, T 세포에 결합하여 인슐린을 생성하는 베타 세포에 대한 면역 공격을 감소시킨다. 임상 시험에서 임상적 1형 당뇨병 발병을 약 2년 지연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 다시글루카곤(Dasiglucagon): 2021년 FDA 승인을 받은 약물로, 심각한 저혈당증 치료에 사용된다. 기존 글루카곤 주사제와 유사한 효과를 가지며, 2024년 유럽 연합에서도 승인되었다.
▷ 개발 중인 유망한 치료제
- VX-880: Vertex Pharmaceuticals에서 개발 중인 줄기세포 유래 인슐린 생성 이식 세포 치료제로, 초기 임상 시험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 NNC2215: Novo Nordisk에서 개발한 생체공학적 포도당 감지 인슐린으로, 혈당 농도에 따라 활성화되어 저혈당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볼라기데맙(Volagidemab): REMD Biotherapeutics에서 개발한 글루카곤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단일클론 항체로, 1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을 개선하기 위한 임상 시험이 진행 중이다.

4. 전신 홍반 루푸스(SLE)
▷ 최근 승인된 치료제
- 아니프롤루맙(Anifrolumab, 상품명: Saphnelo): 2021년 미국 FDA에서 승인된 단일클론 항체로, 인터페론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여 SLE의 염증 반응을 감소시킨다.
- 보클로스포린(Voclosporin, 상품명: Lupkynis): 2021년 FDA 승인을 받은 최초의 경구용 치료제로, 루푸스 신염(Lupus Nephritis) 환자의 신장 기능을 보호하고 질병 진행을 늦춘다.
▷ 개발 중인 유망한 치료제
- CAR T 세포 치료법: 환자의 T 세포를 변형하여 자가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혁신적인 접근법으로, 독일과 영국에서 진행된 초기 임상 시험에서 일부 환자가 완화 상태에 도달하는 등 고무적인 결과가 보고되었다.
- ADI-001: Adicet Bio에서 개발 중인 CAR T 세포 치료제로, 재발성/불응성 루푸스 신염 및 전신 홍반 루푸스를 대상으로 FDA로부터 패스트 트랙 지정을 받았다.
- 다피롤리주맙 페골(Dapirolizumab Pegol): UCB와 Biogen이 공동 개발 중인 치료제로, 현재 임상 3상 시험이 진행 중이다.

5. 류마티스 관절염
▷ JAK 억제제
- 토파시티닙(Tofacitinib, 상품명: 젤잔즈): 최초로 승인된 JAK 억제제로, 경구 복용이 가능하며 염증 반응을 조절한다.
- 바리시티닙(Baricitinib, 상품명: 올루미언트): JAK1 및 JAK2를 억제하여 염증을 감소시키는 경구용 치료제다.
- 우파다시티닙(Upadacitinib, 상품명: 린버크): JAK1 선택적 억제제로, 2023년 12월부터 국내에서 다른 JAK 억제제로의 교체 투여가 허용되었다.
- 필고티닙(Filgotinib, 상품명: 지셀레카): JAK1 억제제로, 다양한 임상 연구를 통해 효과와 안전성이 입증되었다.
▷ 바이오시밀러
CT-P47: 셀트리온이 개발한 악템라(토실리주맙) 바이오시밀러로, 임상 3상에서 유효성과 안전성을 확인하였으며, 미국과 유럽 등 주요국에 허가 신청을 완료하였다.
▷ 새로운 기전의 치료제
CKD-506: 종근당이 개발 중인 HDAC6 선택적 저해제로, 기존 치료제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를 위한 경구용 치료제로 개발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