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화혈색소 3

관리 잘 하는데 공복혈당이 높은 이유와 그 원인은 무엇인가? 공복혈당 정상수치와 낮추는 방법은?

◈ 공복혈당이란?공복 상태에서 혈액 내의 포도당 수치 값을 의미한다. (※ 공복: 8시간 이상 금식한 상태) 공복혈당 수치 기준은 다음과 같다. 공복혈당의 정상 수치는 70 ~ 99(mg/dL) 공복혈당 장애 (당뇨 전단계)는 100 ~ 125(mg/dL) 당뇨병 진단 기준은 126(mg/dL) 이상 공복혈당 수치가 126(mg/dL)을 한 번 넘었다고 바로 당뇨로 진단하는 것은 아니다. 공복혈당 수치가 126 이상 2회 이상 측정 되거나 공복혈당 수치가 126 이상이면서 동시에 당화혈색소가 6.5 이상인 경우 당뇨로 진단할 수 있다. 결국 당화혈색소와 공복혈당 수치 이 두 가지 모두 다 당뇨 진단에 있어 가장 중요하다. 공복혈당 수치가 높으면 혈관과 당뇨병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혈당이 70 이상 올라..

Nature and People 2025.04.21

헬리코박터균의 위험성(위염, 위암, 위궤양, 십이지장궤양)과 치료방법 및 치료효과(위건강, 당화혈색소 정상, 치매예방, 골다공증, 습진, 염증 호전 등)

헬리코박터균은 최소 5만 8천 년 전부터 사람의 위 속에 들어와 문제를 일으키는 인체에 해로운 세균이다. 기존 의학계에서는 강산성의 위액에서는 세균이 살 수 없다는 것이 상식이었다. 하지만 이 상식을 깬 세균이 바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박테리아'이다. 헬리코박터균을 처음 발견한 배리 마셜 박사와 로빈 워런 박사는 2005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헬리코박터균은 요소분해효소를 분비해서 주변을 중성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강한 산성의 위액이 분비되는 위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된 사람은 긴 세월에 걸쳐 만성위염이 발생하게 된다. 일부에서는 위궤양, 십이지장궤양과 같은 소화성 궤양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위암을 유발할 수 있다고 알려지면서 위암 발생률이 높은 우리나라에서 관심이 더 커..

Usage 2024.04.16

당뇨병 직전 몸이 보내는 마지막 경고, 당뇨 전 단계에서 혈당 잡는 식사요법과 운동방법

당뇨병이 시작되면 돌이킬 수 없다. 현대의학에서 당뇨병의 완치란 정말 멀고도 어렵다. ◈ 당뇨병 직전, 몸이 보내는 마지막 경고 1. 예전보다 먹는 양이 많아졌다. 밥을 먹은 지 얼마 지나지 않았는데 허기지고 금방 배가 고파 간식을 자주 먹게 된다. (쑥떡은 몸에 좋을 거라 생각하고 한 접시를 뚝딱 먹고 과일을 먹는다.) 이렇게 먹지 않으면 식은땀이 날 정도로 기운이 빠진다. 지금 당장 뭐라도 먹어야 할 정도로 급하게 배가 고파진다. 많이 먹다 보니 급격하게 체중이 증가한다. 2. 식사 후 식곤증이 몰려온다. 식사 후에 잠이 많이 오기 때문에 1시간에서 2시간 정도 낮잠을 자게 된다. 잠을 자지 않으면 짜증이 나고 날카로워지며 무기력해진다. 3. 피로감을 자주 느끼고 티브이를 보는데 눈이 흐려 보인다. ..

Usage 2024.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