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부전 4

야간뇨(밤에 자다가 깨서 소변 보는 증상), 왜 생길까? 야간뇨 원인과 해결 방법 및 좋은 영양성분은?

자다가 소변이 마려워 깨는 현상을 야간뇨(Nocturia)라고 한다. 정상적인 경우, 밤에는 항이뇨호르몬(ADH)이 분비되어 소변량이 줄어들고 깊은 수면을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밤에도 소변이 자주 마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1. 생활 습관과 환경 요인 ▶ 저녁 늦게 수분 섭취: 자기 전에 물을 많이 마시거나 수분 함량이 높은 음식을 섭취하면 야간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카페인(커피, 차, 초콜릿)이나 알코올은 이뇨 작용을 촉진해 밤에 소변을 보게 만든다. ▶ 이뇨 작용을 유도하는 음식: 수박, 오이, 셀러리 등의 음식도 이뇨 작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 수면 습관 문제: 얕은 수면을 반복하면 방광이 꽉 차지 않아도 소변이 마려운 느낌이 들 수 있다.  2. 신체적인..

Usage 2025.03.12

과도한 단백질 섭취는 요산 수치를 높인다? 통풍, 3기 이상 신장병, 고혈압, 당뇨병, 심부전, 뇌졸중, 심근경색에 주의

음식물에 포함된 단백질속에는 아미노산의 한 종류인 퓨린 성분이 있는데 퓨린은 세포에 필요한 영양소로 에너지로 활용하고 나면 요산이라는 찌꺼기 물질이 되어 콩팥을 거쳐 소변으로 배출된다.    그런데 혈액 속에 요산이 많아지면 요산이 뭉쳐져 결정이 되는데 주로 관절 주변에 생긴다.    이때 백혈구는 요산결정을 외부 침입자로 여기고 공격하면서 관절에 염증반응이 일어난다.   심하면 극심한 통증을 느끼게 된다. 평소에 고기를 많이 섭취하는 사람은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 한번 통풍이 왔다면 정기적으로 혈액검사를 통해 요산수치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정상 범위의 요산 수치(Uric Acid)는 3.4~7.0mg/dl이다. 요산 수치가 정상 범위를 넘으면 요산 저하제를 처방받아서 복용하는데 6 이하로 낮추는 것을..

Usage 2025.02.09

살 빠지는 당뇨병 치료제 SGLT2 억제제가 필요한 환자(심혈관 질환, 심근경색, 지방간, 심부전, 체중감소)와 복용법과 부작용 및 주의할 점

※ SGLT2 억제제란? Sodium 나트륨 Glucose 포도당 CoTransporter-2 공동운반체   우리 몸은 소변으로 빠지는 당을 재흡수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당이 소변으로 빠지지 않는 것이 정상이다. 이런 과정을 억제하게 되면 우리 몸으로 혈당을 재흡수하지 않고 소변으로 당을 배출하게 된다.  이렇게 당을 배출하면 혈당이 추가적으로 감소하게 되는 작용을 나타내는 약제이다. 이때 나트륨도 함께 빠져나가 혈압 감소 효과도 나타난다. 열량에 해당되는 포도당이 빠지는 것은 열량 감소에 해당하기 때문에 체중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g 당 4kcal 정도의 열량 감소(하루 200~300kcal) SGLT2 억제제를 복용하면 소변양이 늘어나고 갈증이 생기게 되는데 당뇨병을 처음 진단받았을 때 증..

Usage 2024.06.02

심혈관계 질환의 골든탐임은 10초! 예방이 최선!

날이 추워지면 혈관이 수축되어 혈압이 상승하게 되고 심장의 부담이 증가한다. 게다가 혈소판의 활성화로 인해 혈액이 끈적해진다. 결과적으로 추운 겨울철에 혈관이 막힐 확률이 높아진다. 혈관이 막힌다는 것은 곧 사망에 이른다는 말이다. 혈전이 심장으로 가는 혈관을 막으면 한순간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심장은 10초만 멈춰도 바로 의식을 소실하고 4분 후에는 뇌사가 진행된다. 혈전이 뇌혈관을 막거나 혈관이 터지면 뇌경색, 뇌출혈을 일으켜 온몸에 마비가 온다. 이 모든 것이 혈관 건강에 달려있다. 지난 10년동안 심장질환과 뇌혈관 질환 월별 사망자 수 그래프 비교(2008~2017) 이 두 질환의 그래프를 자세히 살펴보면 비슷한 분포를 보인다. 두 그래프를 겹쳐보면 놀라운 결과를 볼 수 있다. 이 결과에서도 알..

Nature and People 2022.02.03